목록분류 전체보기 (44)
디지안의 개발일지
들어가기 전에 Kotlin + Armeria + gRPC 기본 예제에 대해서 궁금하다면 기본편을 확인하면 된다. 스트림은 왜 사용될까? 스트림이 정확하게 왜 필요한지는 잘 모른다. 다만, 경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을 했다. 한순간에 많은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 인터넷에 동영상을 다운로드 한다고 생각해보자. 동영상의 경우 데이터가 너무 크기 때문에 파일을 한순간에 받을 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일정 크기로 잘라서 여러번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우리가 인터넷에서 다운로드를 할 때 이어 받기를 구현한다고 할 때 스트림을 이용해서 간단하게 구현할 수도 있을거라고 생각한다. 이미 만들어진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질 데이터에 대해서 전송하는 경우 예를 들어 채팅을 생각해보자. 이미 만..
들어가기 전에 Java를 주로 사용하다가 주언어를 Kotlin으로 변경한지 이제 2년이 다 되어 간다. 그 동안 공부했던 것에 대한 정리를 하고 싶다는 생각이 문득 들어 하나씩 글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오늘은 그 첫번째 글로 Kotlin + Armeria + gRPC 사용했던 것에 대해서 정리한다. 3가지는 무슨 조합인가? 별거 없다. 프로그래밍 언어로 Kotlin으로 쓰고 웹 프레임워크로 Armeria를 사용하고 프로토콜로 gRPC를 사용했다. Kotlin 구글이 안드로이드 공식 언어로 선정한 이후 나름 핫한 언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써본 느낌으로는 Java 보다 문법이 간단하고 확장 함수, 연산자 오버라이딩, dsl등 기존 자바에서 사용할 수 없는 문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는 매력적인 포인트들이 있다..
Netlify로 웹페이지 배포하기 Netlify는 무료로 정적 웹페이지를 배포해주는 사이트이다. 이 글은 Github에 저장되어 있는 VueJS 프로젝트를 내가 가진 도메인으로 배포하는 것에 대해서 기술한다. 주의할 점 다 작성하고 알았는데 Netlify를 Nelify로 작성한 부분이 있다. 오타.. 치명적.. 1. VueJS 프로젝트 생성하기 먼저, Github에 VueJS 프로젝트를 올리자. 2. Netlify에 프로젝트 배포하기 Netlify에 가입을 하고 로그인을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New site from Git을 선택한다. 나는 이미 배포한 사이트가 있어서 나오는데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코드 저장소를 선택한다. Github을 사용했으므로 Github를 선택한다. Github에..
오늘은 이상한 모임의 제3회 99콘 에 다녀왔다. 세미나는 배달의 민족을 개발한 우아한 형제의 작은집에서 진행하였다. 로드뷰길찾기지도 크게 보기 서울을 다녀본적이 없어서 지하철 출구를 찾는 것도 어려웠다.... 우선, 도착을 하니 최지호님께서 발표를 하고 계셨다. 나는 지금 발표하는 것이 이번 세미나와 관련 없는 분이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는 줄 알았다. 행사시작이 1시인줄 알고 12시 30분에 도착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첫번째 세션을 제대로 듣지 못하였고 두 번째 세션부터 제대로 들을 수 있었다. 두 번째 세션은 우아한 형제들의 이동욱님께서 세미나를 진행하셨다. 주제 자체가 주니어 개발자 이력서 쓰기이다보니 주니어 개발자의 이력서 쓰는 노하우에 대해서 설명해주셨다. 세미나를 들으면서 가장 중요하게 여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