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디지안의 개발일지

Kotlin으로 RestDocs DSL 만들기 본문

Spring

Kotlin으로 RestDocs DSL 만들기

안덕기 2023. 8. 6. 23:56

Restdocs DSL

개요

평소에 회사에서 API 문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Swagger를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그런데 최근 시작한 프로젝트에 RestDocs를 사용해야되는 일이 생겼다.
오랜만에 작성하는 RestDocs를 작성하기 위한 테스트 코드는 너무 복잡하고 직관적이지 않다는 것을 느껴 더 좋은 방법이 없을까 고민을 하였고
우연히 toss에서 소개한 Kotlin으로 DSL 만들기라는 글을 보게 되었고
코드가 공개되어 있지 않아 직접 사용하기 위해 시간을 내어 만들어 보기로 했다.

DSL이란?

DSL은 Domain Specific Language의 약자로 특정한 도메인을 적용하는데 특화된 컴퓨터 언어를 의미한다.
굉장히 어려워 보이는 개념 같이 보이지만 사실 개발자라면 모두 DSL를 사용하고 있다.

DSL 종류

  • SQL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상호작용하여 데이터 조회, 삽입, 수정, 삭제 등을 수행하는데 특화
  • HTML : 웹 페이지 구조를 정의하고 표현하는데 사용
  • CSS : 웹 페이지의 스타일과 레이아웃을 정의하는데 사용
  • XML : 데이터 구조화와 표현에 특화
  • JSON : 데이터 교환을 위한 경량화된 데이터 형식으로 사용

종류에서 알 수 있듯이 그냥 어떤 목적에 특화되어 있고, 보다 쉬운 사용법을 제공하는 것인 것을 알 수 있다.

Kotlin에서 DSL

DSL은 그 자체가 DSL인 것도 있지만 특정 언어로 DSL을 만들 수가 있다. 대표적으로 Kotlin, Scala등이 있고 이 글에서 소개하는
것도 Kotlin으로 만든 DSL이다.

이미 Kotlin에서는 많은 DSL를 만들었다.

Kotlin 기능들

Kotlin에서 DSL를 가능하게 하는 여러가지 기능들이 있다. 대표적인 기능들을 몇가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람다

코틀린에서는 람다를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latMap ({ a -> Mono.just(a)})
.flatMap { a -> Mono.just(a) }

이를 통해서 함수명으로 어떤 영역을 그룹핑했다라는 느낌을 줄 수 있다.

<body>
    <h1>Ktor</h1>
    <articled>
        <h2>Hello from Ktor!</h2>
        <p>Kotlin Framework for creating connected systems.</p>
    </articled>
</body>
body {
    h1 {
        + "ktor"
    }
    article {
        h2 {
            + "Hello from Ktor!"
        }
        p {
            + "Kotlin Framework for creating connected systems."
        }
    }
}

확장 함수

확장함수는 아래와 같이 클래스 외부에서 객체에 메소드를 추가하는 기능을 말한다.

data class Client(
    val name: String
)

fun Client.call(action: () -> Unit) {
    action()
}

이 기능을 통해서 내부에 올 수 있는 함수에 대한 타입 체크를 강하게 알 수 있다.

fun main() {
    createHtml().body { // this: BODY
        p {             // BODY.p() 확장함수가 있기 때문에 사용 가능

        }
    }

    createHtml().p { // HTML.p() 확장함수가 없기 때문에 사용 불가능
        body {       // P.body() 확장함수가 없기 때문에 사용 불가능

        }
    }
}

infix 함수

infix 함수는 메소드를 호출할 때 메소드명을 중간에 가도록 할 수 있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junit에 존재하는 assertEquals()의 시그니처를 보면 아래와 같다.

public static void assertEquals(Float expected, float actual)

실제로 사용할 때 아래와 같이 사용하는데, 문제는 expected와 actual의 순서를 헷갈릴 수 있다는 점이다.

assertEqual(expected, actual)

kotest에서는 아래와 같이 infix 메소드를 제공하는데 주어 - 동사 - 목적어 순으로 작성하면 되기 때문에 헷갈릴 일이 없다.

infix fun <T, U : T> T.shouldBe(expected: U?)

actual shouldBe expected

Top-level 함수

클래스에 종속되지 않게 메소드를 정의할 수 있다.

Operator 오버라이드

+,- 등의 연산자를 오버라이드할 수 있다.

@HtmlTagMarker
interface Tag {
    operator fun String.unaryPlus(): Unit {
        text(this)
    }
}

createHtml().body {
    + "hello, DSL" // + 연산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

기타등등

이외에도 inline, reified, scope function (run, apply, with 등)등을 통해
DSL을 유용하게 만들 수 있다.

RestDocs DSL

RestDocs DSL를 만들게 된 계기

토스 블로그를 찾게된 이유가 RestDocs를 작성하는게 불편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두가지 이유가 있다.

  1. RestDocs에서 작성하는 Snippet 부분들은 대부분 static 메소드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작성할 Snippet의 이름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면 아예 작성을 못한다.
  2. 메소드 시그니처를 보고 작성할 수가 없다. 정확하게 작성하는 법을 찾아야하기 때문에.. 기억력이 좋지 않은 나에게 고통이었다.

기존 RestDocs 작성 코드

mockMvc.perform(
    post("/v1/api/profiles")
        .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JSON)
).andExpect(status().isOk)
    .andDo(
        document(
            "create-profile",
            requestFields(
                fieldWithPath("id").description("식별자"),
                fieldWithPath("name").description("이름"),
                fieldWithPath("access").description("접근"),
            ),
            responseFields(
                fieldWithPath("id").description("식별자"),
                fieldWithPath("name").description("이름"),
                fieldWithPath("access").description("접근"),
            )
        )
    )

RestDocs DSL

this.spec.makeDocument(identifier = "index2") {
    url = "/profiles/{name}"
    method = Method.POST
    pathVariables = listOf("name")
    statusCode = HttpStatus.OK
    requestBodyValue = request.toJson()
    request {
        pathVariables = pathVariables(
            "name" meanPath "이름",
        )
        headers = requestHeaders(
            "Authorization" meanHeader "인증"
        )
        requestBody = requestBody(
            "name" type STRING meanBody "이름",
            "age" type NUMBER meanBody "10"
        )
    }
    response {
        headers = responseHeaders(
            "Authorization" meanHeader "인증"
        )
        responseBody = responseBody(
            "name" type STRING meanBody "이름",
            "age" type NUMBER meanBody "10"
        )
    }
}

어떤 것이 더 좋을지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거 같다.
나 같은 경우 메소드 시그니처를 확실하게 알 수 있는 DSL이 편하지만
RestDocs에 대해서 확실하게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기존 방식이 더 좋을 수도 있다.

Github 주소

RESTDocs DSL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Webflux에 대하여 - 1편  (0) 2023.03.27